본문 바로가기

전체 글

(95)
Do it pandas Chapter 4. 그래프 그리기 (이어서) 4-4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로 그래프 그리기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로도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. 간편하게 그래프를 그리고 싶은 경우에는 데이터프레임이나 시리즈를 사용하여 바로 그래프를 그릴 수 있습니다. 1. 우선 히스토그램을 그려볼까요? 시리즈에 있는 plot 속성에 정의된 his 메서드를 사용하면 해당 시리즈의 값을 이용하여 히스토그램을 바로 그릴 수 있습니다. ax = plt.subplots() ax = tips['total_bill'].plot.hist() 2. 투명도를 조절하려면 hist 메서드의 alpha, bins, ax 인자를 사용하면 됩니다. 다음은 tips 데이터프레임에서 2개의 시리즈를 선택하여 히스토그램을 그린 것입니다. fig, ax = plt.subplots() ax = tip..
Do it pandas Chapter 4. 그래프 그리기 4. 그래프 그리기¶수백 줄의 텍스트만으로 이루어진 데이터를 읽거나 기초 통계 수치를 계산하는 방법으로는 데이터를 제대로 분석할 수 없습니다. 사람의 눈은 한 번에 볼 수 있는 양이 정해져 있기 때문이죠. 이런 경우에는 데이터를 시각화해야 합니다. 보통 실무에서는 데이터의 숨겨진 패턴을 파악하기 위해 데이터 시각화를 많이 사용합니다. 그러면 판다스를 활용한 데이터 시각화가 무엇인지 자세히 알아볼까요? 4-1 데이터 시각화가 필요한 이유 4-2 matplotlib 라이브러리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4-3 seaborn 라이버르러리 자유자재로 사용하기 4-4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로 그래프 그리기 4-5 seaborn 라이브러리로 그래프 스타일 설정하기 4-1 데이터 시각화가 필요한 이유¶앤스콤 4분할 그래프 살..
Do it Pandas Chapter 2. 판다스 시작하기 chapter2 pandas 시작하기¶ 판다스는 데이터프레임과 시르즈라는 자료형과 데이터 분석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파이썬 라이브러리 입니다. 또 판다스는 파이썬 언어만 사용할 줄 알아도 데이터 분석을 바로 시작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반복되는 데이터 분석 작업을 프로그램으로 만들어 쉽게 해결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. 이번 장에서는 판다스의 기초 개념을 정리하고 몇 가지 간단한 실습을 통해 판다스가 어떻게 동작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 목차는 다음과 같습니다. 2-1 데이터 집합 불러오기 2-2 데이터 추출하기 2-3 기초적인 통계 계산하기 2-4 그래프 그리기 2-1 데이터 집합 불러오기¶ 데이터 분석의 시작은 데이터 불러오기부터¶ 데이터 분석을 위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무엇일까요? 갭..
Do it padas Chapter 3. 판다스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 3. 판다스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¶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는 리스트나 딕셔너리와 비슷하지만 데이터를 다루는 데 더 특화되어있다. 리스트아 딕셔너리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메서드가 많지 않습니다. 반면에 판다스의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것처럼 행과 열 단위로 원하는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속성과 메서드를 제공합니다.그러면 데이터프레임과 시리즈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3-1 나만의 데이터 만들기¶ 3-2 시리즈 다루기 - 기초¶ 3-3 시리즈 다루기 - 응용¶ 3-4 데이터프레임 다루기¶ 3-5 시리즈와 데이터프레임의 데이터 처리하기¶ 3-6 데이터 저장하고 불러오기¶ 3-..
04-3 파일 읽고 쓰기 # readline_all.py f = open("C:/doit/새파일.txt",'r') while True: line = f.readline() if not line: break print(line) f.close() # readline_all.py f = open("C:/doit/새파일.txt",'r') while True line = f.readline() if not line: break print(line) f.close() 우리는 이제까지 값을 '입력' 받을 때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는 방식을 사용했고 '출력'할 때는 모니터 화면에 결괏값을 출력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래밍해 왔다. 하지만 입출력 방법이 꼭 이것만 있는 것은 아니다. 이번에는 파일을 통한 입출력 방법에 대해 알아보자. 여기에서는 파..
04-2 사용자 입력과 출력 우리들이 사용하는 대부분의 완성된 프로그램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그에 맞는 출력을 내보낸다. 대표적인 예로 게시판에 글을 작성한 후 '확인'버튼을 눌러야만(입력) 우리가 작성한 글이 게시판에 올라가는(출력)것을 들 수 있다. 지금부터는 좀 더 다양하게 사용자의 입력을 받는 방법과 출력하는 방법을 알아보자. -사용자 입력 사용자가 입력한 값을 어떤 변수에 대입하고 싶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? -input의 사용 ex) number = 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") 숫자를 입력하세요 " input("질문내용") " ex) number = input("숫자를 입력하세요:") 숫자를 입력하세요:3 print(number) 3 - print 자세히 알기 print의 사용 예 ex) a = 123 print(..
04-1 함수 (프로그램의 입력과 출력은 어떻게 해야 할까?) 함수를 잘 사용하고 함수를 적절하게 만들 줄 아는 사람이 능력 있는 프로그래머이다. def add(a,b): return a + b 여기에서 return은 함수의 결괏값을 돌려주는 명령어이다. 이제 직접 add 함수를 사용해 보자. a=3 b=4 c=add(a,b) print(c) 7 - 매개변수와 인수 def add(a,b): a,b는 매개변수 return a+b print(add(3,4)) 3,4는 인수 -입력값과 결괏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def add(a,b): result = a + b return result ex) a = add(3,4) print(a) 7 - 입력값이 없는 함수 def say(): return 'Hi' say 라는 이름의 함수를 만들었다. 그런데 매개변수 부분을 나타내는 함..
03-3 for문 파이썬의 직관적인 특징을 가장 잘 대변해 주는 것이 바로 이 for문이다. while문과 비슷한 반복문인 for문은 매우 유용하고 문장 구조가 한눈에 쏙 들어온다는 장점이 있다. for문을 잘 사용하면 프로그래밍이 즐거워질 것이다. - for문의 기본 구조 for 변수 in 리스트(또는 튜플, 문자열): 수행할 문장1 수행할 문장2 1. 전형적인 for문 test_list = ['one','two','three'] for i in test_list: print(i) one two three one, two, three 리스트의 첫 번째 요소인 one이 먼저 i변수에 대입된 후 print(i) 문장을 수행. 리스트의 마지막 요솎지 이것을 반복 한다. 2. 다양한 for문의 사용 a = [(1,2),(3,4..